PORT 번호
67,68 : IP 효율적으로 관리
80 : 웹페이지 전송
110, 143 : 이메일 서비스.
POP3 - mail을 읽으면 client 쪽에서 다운. 메일 사서함의 용량 관리가 필요없다.
IMAP - mail을 읽으면 서버쪽에 남아있다. (네이버나 다음과 같은 웹메일 서비스) 메일 사서함의 용량 관리를 해야한다.
139, 445 : 보안에 가장 취약. 안 쓰는것을 권장.
993, 995 : SSL 위의 110, 143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TCP/UDP%EC%9D%98_%ED%8F%AC%ED%8A%B8_%EB%AA%A9%EB%A1%9D
TCP/UDP의 포트 목록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잘 알려진 포트(well-known port)는 특정한 쓰임새를 위해서 IANA에서 할당한 TCP 및 UDP 포트 번호의 일부이다. 일반적으로 포트 번호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나눌
ko.wikipedia.org
x-shell
- tty : 콘솔의 접속
- pts : 원격 접속
- DHCP :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(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)
IP를 자동으로 할당해 주는 프로토콜 - FTP : TCP/IP 네트워크(인터넷)상의 장치가 파일을 전송할 때 사용하는 규칙
- DNS : Domain Name Service
입력하는 URL을 IP address로 변환시켜주는 프로토콜 - WEB : 웹 컨텐츠를 제공
- MAIL : 전자 우편 서비스
- NFS : Network File System
conf 파일 설정
vi /etc/dhcp/dhcpd.conf
<< 과제 >>
참고자료
https://virtualtech.tistory.com/203
CentOS7 : DHCP 풀이 중 IP 변경 시 Host, VMware Work IP 변경
음! DHCP 문제 풀이 중 VM의 IP를 변경하면 인터넷 및 SSH 접속이 끊기는 것은 당연합니다. Host PC와 Guest VM의 IP 대역이 맞기 않기 때문입니다.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을 좀 드리고자 합니다. 일단 DHCP문
virtualtech.tistory.com
※ 항상 VMware -> 실제pc 순서로 작업해야 한다. VMware 설정하면 초기화되기 때문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Network] Virtual Host (httpd 설정) (0) | 2022.08.17 |
---|---|
[NetWork] DNS, DNS 설정 (0) | 2022.08.12 |
[NetWork] FTP모드 (0) | 2022.08.11 |
[NetWork] Port Forwarding (0) | 2022.08.11 |